본문 바로가기
  • 교실에서 예술을 가르치는 수업 예술가
미술수업참고자료/미술이론

학습요점정리 1

by 햇님이 마미 2010. 12. 22.

 


1. 조형의 요소

-존재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로서 모든 형태의 근원이자 출발점

-점이 모이면 선이 되고 일정한 점들의 배열은 운동감 형성

-점이 모여 이루어진 사물의 윤곽을 의미하며 형태를 지님

-선의 방향에 따라 정적이거나 운동감을 가짐

-면은 점이 모여서 이루어진 선의 이동이 가져온 결과, 면에 의해 형이 드러남

양감-대상물의 부피나 무게에 대한 느낌

질감-표면의 거칠고 부드러운 느낌


2. 조형의 원리

조화-전체와 부분의 요소가 어울리는 상태

균형

-형과 색이 시각적으로 균형을 이룬, 안정된 상태

비례-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의 길이, 넓이의 비율

대칭-좌우의 형과 색, 크기가 같은 것

변화-형태나 크기, 색채 등이 서로 다르게 표현되어 단조롭지 않게 하는 요소

통일

-각 요소간의 질서로 산만하지 않게 조화를 이룬 상태

대비-서로 반대되는 형과 색 등의 강조 효과

율동-형과 색이 반복되어 생기는 움직임과 리듬감

강조

-특정 부분의 변화 정도가 커서 그 부분이 부각되는 상태

점증-크기, 길이, 명암, 색채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






1. 구상 표현

대상을 직접 보고 그리는 것과 달리 마음속의 생각이나 느낌, 경험했던 일, 상상한 것 등을 주제로 그리는 그림

⑴ 표현의 주제나 기법이 제한이 없으며, 그리는 사람의 경험이나 상상 또는 생각이 표현의 주제가 됨

⑵ 표현의 효과를 위해 주제를 변형, 과장, 단순화하기도 함

⑶ 종류-느낌 표현, 상상 표현, 생활 경험화, 풍속화, 종교적 표현(성화, 탱화 등), 이야기 그림, 음악을 듣고 그리기, 시를 듣고 그리기


2. 추상 표현

⑴ 작가의 주관적인 미의식을 바탕으로, 작가의 감정을 다양한 기법과 방법으로 자유롭게 표현

⑵ 자연의 대상이 아닌 순수한 조형 요소인 점, 선, 면, 색 등으로만 화면 구성

⑶ 전통적 회화 이념에 반하여 생겼으며, 모든 사물을 기하학적인 형과 색으로 요약하려는 20세기 미술 양식

기하학적 추상-차가운 추상, 면과 선이 이루는 면 분할과 색채의 조화로 이지적, 몬드리안

서정적 추상-뜨거운 추상, 격정적, 주관적, 칸딘스키


3. 표현 기법

콜라주-종이, 인쇄물, 사진, 천, 털실 등을 오려 붙여 표현하는 기법

포토 몽타주-사진의 조각들을 종이에 오려 붙여 만드는 기법

핑거 페인팅-풀에 물감을 섞어서 손가락으로 문질러 그리는 그림

마블링-물과 기름이 서로 섞이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우연의 효과를 살려 작품을 제작하는 기법

스크래치-크레파스나 유채 물감 따위로 색칠한 위에 다른 색을 덧칠한 다음 송곳, 칼 따위로 긁어서 바탕색이 나타나게 하는 기법

배틱-초, 크레용 등의 재료로 화지에 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물감을 칠하여 그리는 기법

시프팅 기법-일정한 간격으로 자른 두 개의 그림을 순서대로 번갈아 가며, 구성하는 방법

스테인드글라스 기법-색유리에 기하학적이거나 장식적인 형태에 따라 자른 후 납으로 용접. 중세 성당의 유리창, 현대의 실내 장식 등

모자이크 기법-종이, 돌, 유리, 타일 조각들을 접착해 무늬나 그림을 표현하는 기법




평면 위에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색과 선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표현하는 조형 예술


1. 회화의 표현 요소

-자연형:자연 그대로 사실적으로 표현

-추상형:실제를 표현하지 않고 작가가 새롭게 창조시켜 표현

-반추상형:작가 의도대로 단순, 생략, 강조하여 변형시켜 표현

-고유의 색:물체가 지닌 고유의 색 그대로 표현

-창조의 색:작가의 감정에 의해 창의적으로 표현

-인상의 색:빛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대로 표현

명암-빛이 물체에 닿을 때 생기는 밝음과 어두움

 

 

 

 

 

 

양감-물체의 부피, 무게에 대한 느낌

질감-물체나 화면에 표현된 재질의 느낌

공간감-화면에서의 깊이나 넓이의 느낌

운동감-화면에서 느껴지는 움직임과 방향감

색조

-색의 밝기와 어둡기, 연하게와 진하게에 의해서 나타나는 화면의 전체적 조화

2. 회화의 분류

|전통 회화| 먹과 붓, 화선지를 재료로 하여 주관적인 뜻과 선, 여백의 미를 중시

⑴ 분류

수묵화-먹의 농담과 번짐을 이용하여 표현

수묵 담채화-먹색을 위주로 엷게 채색하여 그린 그림

진채화-채색을 위주로 표현한 것

⑵ 표현 기법

몰골법-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먹, 물감을 붓에 묻혀 한 번의 붓놀림으로 농담으로만 형태를 그린 방법

구륵법-사물의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에 채색하는 방법

백묘법-채색하지 않고 먹선으로만 표현


⑶ 소재에 따른 분류

산수화-산과 들, 계곡 등 자연의 경치를 그린 그림

화조화-꽃과 새를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

영모화-새나 짐승을 그린 그림

기명절지화-그릇, 화초, 가구 등을 조화시켜 그린 그림

풍속화-당시의 생활 풍속이나 사회상을 그린 그림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

초충도-풀, 벌레를 그린 그림

어해화-물고기(잉어, 게 등)를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


|서양 회화|

정물화:과일, 꽃, 화병 따위의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물체를 놓고 그린 그림

⑴ 특징-소재의 선택과 배치가 자유로워 구도 학습에 좋음

⑵ 화면 구성

변화-단조롭지 않게 하는 요소. 지나치면 무질서하고 복잡한 느낌

통일-산만하지 않게 하는 요소. 지나치면 단조로운 느낌

균형-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고 안정감을 갖게 하는 요소

 

풍경화:자연 경치나 생활공간을 그린 그림

⑴ 특징

계절, 날씨의 변화 등을 자유롭게 표현

멀고 가까움에 따른 원근감이나 공간감을 표현

경치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변형하여 그릴 수도 있고, 다른 곳에 있는 것을 옮겨 그릴 수도 있음

⑵ 원근감 표현

색채 원근법-가까이 있는 물체는 선명하고 채도가 높게 채색하고 멀리 있는 물체는 흐릿하고 채도가 낮게 채색하여 원근감을 표현

투시 원근법-가까운 곳은 크게, 먼 곳은 작게 하여 원근감을 표현(소실점에 따라 1점 투시, 2점 투시, 3점 투시로 구분)

 

 

 

 


인물화:사람을 주제로 하여 그린 그림

⑴ 표현 요소

인체의 비례, 균형, 동세, 양감 등을 관찰하고 움직임에 따른 변화를 표현한 그림

⑵ 인물화의 종류

대상에 따라-자화상, 초상화, 종교화, 역사화, 풍속화, 군상화

부위에 따라-두상화, 흉상화, 반신상화, 전신상화

자세에 따라-좌상화, 와상화, 입상화


소묘:연필, 목판, 콩테, 펜 등 주로 한 가지 색으로 그린 그림

⑴ 특징

모든 조형 활동의 기초, 그림을 그리는 준비 과정

⑵ 소묘의 종류

스케치-대상의 특징을 선이나 명암으로 간략히 표현한 그림

크로키-움직이는 사람의 형태를 짧은 시간에 재빨리 그리는 것

데생-대상의 형태, 비례, 균형, 명암 등을 정확하게 표현한 것

정밀 묘사-대상을 자세히 관찰하여 정확하고 세밀하게 표현하는 그림

⑶ 소묘의 재료

 

 

 

 

 

연필-간편하고 표현이 자유로워 가장 많이 쓰임

목탄-명암 표현이 부드럽고 수정하기 쉬우며, 완성 후에는 목탄 가루가 떨어지지 않도록 정착액을 뿌려 보관

콩테-진하고 부드러운 효과가 있으나 수정하기가 어려움

펜-예리하고 딱딱한 선의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세밀한 표현에 적당

붓-붓은 선의 굵기와 농담의 조절이 쉬워 자연스러운 표현이 가능


채색화:채색을 사용해서 그린 그림

⑴ 특징

크레용이나 크레파스, 파스텔, 수채 물감, 유채 물감, 아크릴 물감 등 여러 가지 채색 효과를 살려 표현한 그림

⑵ 채색화의 종류

수채화-물감을 물에 풀어 사용, 표현 기법에 따라 투명, 불투명 기법

담채화-스케치한 선이 보이도록 엷게 채색한 그림

유화-물을 기름에 개어서 사용, 빨리 마르지 않는 단점. 발색이 좋고 접착력이 뛰어나 천이나 돌, 유리 등에 그릴 수 있고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

아크릴화-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든 물감으로, 물에 개어서 사용, 마르는 시간이 빠르고 접착력이 강하며 색상이 선명


'미술수업참고자료 > 미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요점정리 3  (0) 2010.12.22
미술요점 정리 2  (0) 2010.12.22
서양미술사 간단 이론  (0) 2010.12.17
민화  (0) 2010.12.14
전통건축  (0) 201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