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교사들이 가장 많이 수업하는 주제가 바로 초현실주의 관련 수업이 아닐까십네요.
아무래도 적용할 수 있는 요소들고 많고 특히 아이들의 상상력이나 창의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작가들의 작품이나 기법들이 많기 때문인데 저도 매년 초현실주의 관련 수업을 해 왔답니다.
올해는 고등에 있다보니 약간 수준을 높여서 입체로 만들어 보았답니다.
이전 근무하시던 샘이 유토를 한 가득 사 놓으셔서 활용도 할겸요!

먼저 차시별 활동입니다.
1차시 | 2차시 | 3차시 | 4차시 |
초현실주의에 대해 알아보기 | 초현실주의 기법에 대한 탐구 | 데페이즈망을 활용해 전혀 상관없는 두 가지 사물 합체하기 | 초현실주의 입체 조형물 만들기 |
1차시
1. 초현실주의에 대해 알아봅시다.
2.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학에 대해 간단히 설명합니다. 프로이드에 따르면 우리 인간의 의식 뒤에는 거대한 무의식이 있고 우리의 모든 행동은 무의식에 지배를 받는다고 하죠^^
2차시
3. 초현실주의 화가들이 사용한 초현실주의 기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 활동지를 통해 직접 해보기도 하구요.
데페이즈망 | 잔혀 다른 두 대상을 만나게 하여 기이하고 낯선 분위기를 표현하는 기법 |
오토마티즘 | 이성이나 의식에 지배되지 않고 무의식 가운데에 화필을 자유롭게 움직여서 그림을 그리는 것 |
프로타쥬 | 요철이 있는 대상을 화지 위에 놓고 문질러 나오는 우연적인 효과를 사용한 기 |
이중형상 | 편집광증 비판, 두 가지 형상을 한 번에 보여주는 초현실적인 착시 표현 |
콜라쥬 | 시각 예술에서 주로 쓰이며 질(質)이 다른 여러 가지 헝겊, 비닐, 타일, 나뭇조각, 종이, 상표 등을 붙여 화면을 구성하는 기법 |
데칼꼬마니 | 종이 위에 물감을 두껍게 칠하고 반으로 접었다 펴서 환상적인 무늬의 독특한 효과를 활용한 기법 |
4. 초현실주의 기법을 사용한 화가들과 연결시키면서 작품 감상을 하도록 합니다.
1) 데페이즈망 - 르네 마그리트
마그리트 그림은 여러 광고나 미디어의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기도 했는데 사용된 예를 통해 흥미를 유발합니다.
2) 오토마티즘 - 후앙 미로
- 오토마티즘을 통해 나온 우연적 무의식의 형태를 활용하여 꿈속의 것과 같은 은유와 이미지를 통해 현실과 초현실의 병치)
3) 프로타쥬 - 막스 에른스트
-무의식을 그럴듯하게 표현하기 위해 독특한 질감이 있는 표면 위에 종이를 대고 드로잉 도구를 긁어 형태를 나타내는 프로타주 기법 을 창시한 화가입니다.
4) 이중형상 - 살바도르 달리
5) 데칼꼬마니 - <비온 뒤의 유럽 Europe after the Rain> 작품에서 자연의 황페화된 모습을 우연한 대칭과 비대칭을 통한 얼룩 효과로 표현한 혼란스러운 면의 질감 표현
3차시
1. 3차시에서는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기법 중 데페이즈망의 6가지 기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봅니다.
1) 일상의 물건을 다른곳에 배치하기
2) 작은 것을 크게 확대하기
3) 관련 없는 사물을 조합하기
4) 생명이 없는 곳에 생명을 불어넣기
5) 고유의 특성 바꾸기
6) 미지의 차원 열기
![]() |
![]() |
![]() |
1.일상의 물건을 다른곳에 배치하기 |
2. 작은 것을 크게 확대하기 |
3. 관련 없는 사물을 조합하기 |
![]() |
![]() |
![]() |
4. 생명이 없는 곳에 생명을 불어넣기 |
5. 고유의 특성 바꾸기 |
6. 미지의 차원 열기 |
2. 이 중에서 3) 관련 없는 사물을 조합하기를 활용하여 아이디어 발상을 하도록 합니다.
4차시
1. 이제 유토를 활용해서 데페이즈망 입체 환조 조형물을 만들어 봅니다. 학생 작품을 감상해 볼까요?
고딩이라서 그런지 생각보다 너무 잘 만들었더라구요. 유토가 미술실에 있다면 한 번 만들어 보시는 걸 추천 드려요~!!
'다양한 미술 수업 활동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화 공방 및 봉산문화거리 체험 - '미술 동아리 전일제 체험 활동' (0) | 2024.05.30 |
---|---|
추상 표현을 활용한 연필꽂이 디자인 (1) | 2024.04.25 |
원근의 왜곡 사진 파트 2 (0) | 2023.09.12 |
현대 미술 감상 프로젝트 <미술관이 내게로 왔다> - 국립현대미술관 예술로온 사업 선정 전시 활용 수업- (0) | 2021.09.17 |
작품에 어울리는 공간 만들기 (0) | 2021.02.03 |